Information/경제.지식.정부정책

2023년 청년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 환급금 조회 및 신청방법, 지급기한 (Feat.중도퇴사)

제이뷔 2023. 7. 20. 00:45
반응형

오늘은 청년내일채움공제 (청내공) 중도해지 신청방법 및 환급금 조회 그리고 지급기한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 

 

 

청년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
청년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

 

 

 

 

 

 

청년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
청년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

 




※ 청년내일채움공제 중도해지란?
※ 청년내일채움공제 환급금

※ 청년내일채움공제 신청방법
※ 청년내일채움공제 환급금 지급기한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
※ 청년내일채움공제 중도해지란?

 

 

 

청년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
청년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

 

청년내일채움공제를 가입하고 계약승인일 1달이 지난 이후부터는 계약취소가 아닌 중도해지로 진행합니다.

(1달 이내인 경우, 계약취소로 진행된다.)


 

※ 청년내일채움공제 환급금 

 

 

환급금은 2가지로 나뉜다. 기업의 귀책사유로 환급받는 방법과, 청년(본인)의 귀책사유로 환급을 받는 방법이 다. 하기 내용과 같이 신청자가 넣은 금액과 +@로 환급금을 조회할 수 있다. 

 

다른 방법으로는 해당 운영기관에 연락하여 정확한 환급금에 대해 물어본다.

 

그 외에도 온라인청년센터를 통해 신속하게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

(카톡/전화 상담 09시~18시, 1811-9876)

 

 

청년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
청년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

 

 

 

 

환급금 중도해지 기업, 청년(본인)의 대한 사유도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.

 

 

청년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청년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
청년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※ 청년내일채움공제 신청방법

 

청년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청년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
청년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

 

 

 

◆ 내일채움공제 >> 청년내일채움공제 >> 변경해지만기 메뉴를 이용한다.

◆ 계약취소/중도해지 선택 후 사유발생일 적고, 중도해지사유 적고, 사직 증빙자료를 첨부해야 하는데 권고사직 또는 이직에 경우 사직서 대신 고용산재보험토털서비스를 이용하면 된다. 

  

 

위 방법과 같이 신청하면 완료다. 신청 시 중요한 점은 기업과 청년이 중도해지 사유가 같아야 한다.

(다르면 해지신청이 완료되지 않는다.)

 

추가로 필자 경험으로 기업 측 담당자가 회신이 늦으면 해지신청 또한 늦게 처리된다. 기업 측 담당자가 누구인지 파악하고,

빠르게 처리요청 해달라고 하는 것도 방법이다.

 

위 방법도 안되면 해당 기관(상공회의소 등)에 전화해서 담당자에게 너무 처리가 늦다고 보채면 해당 기업체에 전화해서 빠르게 처리되게끔 도와주기도 한다. (경험담)

 

 

 

 

※ 청년내일채움공제 환급금 지급기한

 

 

청년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청년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
청년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

 

 

환급금 지급기한은 청년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에서 중도해지 신청 후 영업일 기준으로 10일 이내로 해당 계좌로 송금된다.

 

필자도 2023년 이전에 가입자로, 매월 12만 5천 원씩 24개월을 납부해 300만 원이 모였지만, 1년 이내 퇴사/이직자는 정부/기업지원금을 한 푼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300만 원+@(이자 10800원) 들어온 게 전부다..

 

청년내일채움공제는 2023년 현재에도 지급받는 금액은 같지만, 몇 가지 유동적으로 변경사항이 있다.

하지만 여전히 좋은 지원사업인 것 같고, 필자는 지원금을 받지 못했지만 사회초년생인 청년들은 해당되는지 확인해서 꼭 신청했으면 좋겠다.

 

 

 

반응형